1. VOCs의 정의
VOC는 증기압이 높아(0도씨, 1 기압)에서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이 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의
유기화합물의 총칭으로서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탄화수소류 중 석유화학제품, 유기용제 및
그 밖의 물질로서 환경부 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것을 말하고,
EPA에서는 대기 중 태양광선에 의해 질소산화물과 광하학 반응을 일으켜 지표면의 오존농도를
증가시켜 스모그 현상을 일으키는 유기화합물로 정의한다.
(CO, CO2, 탄산암모늄, 금속성 탄산염 제외)
2. 발생원별 분류
1) 자연적 발생원
; 자연 기원 BVOCs(Bio)
① 나무(송진류, 이소프렌류)
② 늪지대(메탄)
2) 인위적 발생원
① 자동차: 배기관과 증발 배출 (벤젠, 톨루엔 등 56종)
② 도장·잉크 제조: 도장 및 건조 라인 (벤젠, 톨루엔, 크실렌)
③ 용매·접착제·합성수지: 플라스틱, 합판 제조라인 (스티렌, 아세트알데하이드, 에스테 류)
④ 화학공장: 석유화학, 유기합성 라인 (벤젠, 톨루엔, 크실렌)
⑤ 악취물질: 비료, 사료, 소화기 제조 (아민류, 황화합물류)
3. VOC 규제의 한계
VOC는 일반 대기오염물질과는 다르게 배출원이 굴뚝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저장시설과
수송수단 및 공정 중에서 증발 및 누출 등 불특정 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이다.
현행 VOC 발생 농도 기준의 규제가 아닌 VOC 시설 규제로 되어있어 실질적인
저감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 및 관리에는 어려움이 있다.
'환경 > 대기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APs 비산배출시설 관리제도 (0) | 2019.06.27 |
---|---|
자연발생 VOC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피해 (0) | 2019.06.27 |
하수도 악취 실태분석 및 종합적 악취관리체계 마련 (0) | 2019.06.26 |
악취배출시설 사전 신고제 (0) | 2019.06.26 |
제2차 악취방지 종합시책 (0) | 2019.06.26 |